Log/What I Learned

나에게 필요한 시간은 무엇일까

vanss 2023. 2. 12. 22:06

라이프해커 자청님이 쓰신 역행자

계기

  얼마 전 밀리의 서재로 역행자라는 책을 읽기 시작했다. 어떤 이들은 이 책에 대해 '전형적인 자기 계발서' 혹은 '다른 성공한 사람들이 말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게 없는 책'이라고 말하기도 하는 것 같다. 조금은 동의하기는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 보면 결국 '성공하는 것에는 공통적인 무엇인가가 있다.'인 것이고 그것을 실천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성공하는 사람과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이 나뉘는 게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해봤다.

 

  그런 점에서 이 책에서 알려주는 역행자가 되기 위한 7단계 중에 정체성 만들기라는 2단계를 본 글을 통해 실천하기 시작해보려고 한다. 정체성 만들기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면, 스스로가 무의식 중에 집중하는 분야를 의도적으로 설정하고 설정하기 위해서 본인의 정체성을 커스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내가 건축 디자이너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면, 어느 장소를 가든 해당 건축물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고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서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서 남들에게 선언하기(환경세팅)을 여기다 적을 것이고 주제는 시간활용이다.

 

 

 

필요한 시간은?

  크게 4가지 정도가 될 것 같다. 먼저 첫 번째는 책에서 늘 강조하는 뇌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글쓰기, 책 읽기 등의 뇌 훈련 시간, 두 번째는 우울증 개선과 하루에 활력을 만들어주는 운동 시간, 세 번째는 근로소득을 높이기 위한 본업 개발 시간, 마지막으로는 재테크 공부시간이다. 

  1. 뇌 훈련 시간

  2. 운동 시간

  3. 제테크 공부 시간

  4. 본업 개발 시간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은?

  일주일 기준으로 계산을 해봐야겠다. 평일과 주말에 소비되는 시간부터 계산해 보자. 평일은 24h중에 10 to 19까지 근무시간 7.5h(1.5h는 점심시간), 출퇴근을 한다면 왕복 2h, 아침 저녁 씻는시간 1h, 아침, 점심, 저녁 밥먹는시간 1h, 낮잠 0.5h, 잠자는 시간 6h, 총 18시간이다. 24시간중에 75%나 근로하기 위해 시간을 써야하고 단 6시간만이 평일에 내가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다.(물론, 재택이나 다른 요건에 의해 절대적이진 않을것지만 기준을 잡기에는 문제없다고 생각한다.) 사실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은것인지 적은것인지 중요하지 않다. 나한테 주어진 이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게 지금 나에겐 가장 중요하다.

 

  주말도 계산해보자. 주말은 회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10시 기상 기준(잠자는 시간 10h)으로 잡아보겠다. 점심저녁 1h, 정도~? 11시간 정도 쓰고 남는 시간은 13시간 정도 될 거 같다.

 

  그러면 일주일에 쓸 수 있는 시간은 5일 x 6시간 + 2일 x 13시간 = 56시간이다. 이걸 필요한 시간에 따라 나눠보자.

  1. 운동시간 : 2시간씩 주 3일 = 6h

  2. 뇌 훈련 시간(책 읽는 시간은 통근시간으로 대체(하루 2h)) : 7h (하루 1h)

  3. 재테크 공부 시간 : 13h

  4. 본업 개발 시간 : 30h

 

 

 

정리

  아직은 입사한 지 1년 차니까 본업 개발 시간에 비중을 가장 높였다. 계속 공부는 해야겠지만, 임장도 해야 할 테니 제테크 공부시간에 비중도 조금씩 높여가야겠다. 이제 이렇게 환경을 셋팅했으니, 내일부터 운동하고, 글쓰고 책읽고 제테크 공부하는 개발자 정체성을 갖고 꾸준하게 살아가봐야겠다.